2024.08.13
안녕하세요
어릴때 책을 읽지않아 국어 공부에 많은 힘이 들어서 고민하던중에 나쁜국어 교재를 발견하고 책을 읽지않아도 제대로 열심히 하면 충분히 수능 국어에 필요한 독해력을 기를 수 있다는 소식에 안도하고 감사하며 열심히 공부하고있습니다.
그런데 최근에 act 5를 공부할때 의미단위로 문장을 나누는것이 힘듭니다.
일단 제 공부방법 부터 알려드리면
머리 꼬리찾기,필수요소 찾기,문장속 문장 분해,문장과 문장 연결 관계파악 이렇게 4가지 기술을 배우면(먼저 읽기->유트브 영상시청) 시중에 나와있는 중학 비문학 교재를 가지고 각각을 적용하는 연습을 했습니다
나쁜 국어 책에 있는 5가지 문제로는 제가 그 기술을 익히는데 부족할것 같아서요.
그렇게 하루에 1개만 진도나가고 그날 배운 기술을 중학 비문학 지문1개에 문장들에 그것을 적용하는 방법으로 연습했습니다
그리고 다음날이 되면 새롭게 진도를 1개 나가기전에 전날 배운것을 한번더 지문에 적용하는 연습을 하고요.
근데 act. 5 (실전적 문장 해부)에서 의미단위로 문장을 슬레쉬로 나눌때 나쁜독해 해설과 비슷하거나 같게 하지 못합니다.
act 1부터 act 4까지 주의사항이나 tip같은 부분 꼼꼼히 보면서 제 평소 습관을 고치려고 열심히 적용했거든요
아직 책을 시작한지 몇일밖에 지나지 않아 습관이 아직 남아있어서 의미단위로 문장을 나누는것이
아직은 저에게 버거울 뿐인지 아니면 다른 문제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제는 문제가 발생하면 다음으로 넘어가는게 쉽지 않아서..ㅜ
열심히 하는 중인데 의미단위로 나누는것이 어렵습니다 ㅜㅜ도와주세요 ㅠㅠ
문장 독해 부분보다는 이후 단락, 글 부분에 집중해서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문장 나누는 건 정답이 없는데 각 의미 단위를 빠르게 인식하자는 차원입니다.
가령 위 문장을 가지고,
문장 독해 부분보다는 / 이후 단락, 글 부분에 집중해서 /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문장 독해 부분보다는 / 이후 단락, 글 부분에 집중해서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두 가지로 나뉠 수도 있겠죠.
어찌되었든 핵심은 앞과 뒤가 다르고, 그 핵심은 문장 보다 단락, 글 이라는 것이니 그 부분 인식이 잘 되면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