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8.10
국어 방법론. 생소하다지만 그래도 노력하면 체화하겠지..라는 막연한 생각을 가지고 1회독을 했는데 정말 무슨 말인지 하나도 모르겠습니다.. 끝에 가니깐 진짜 엄청 '어설프게' 글의 핵심이 뭔지 대충 알겠는 느낌? 했던 방식으로 2회독하면 안 하는거랑 똑같다는게 불보듯 뻔해 하기 전에 질문드립니다. 반드시 체화하고 싶습니다. 단순히 수능의 문제가 아니라 내가 못한다고 생각하고 드랍하기 싫어서요. 현재 1회독의 관점에서 질문드리는거라 고수의 입장에서 봤을 때 한심한 질문이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 양해바랄게요 ㅜ.
Q1. 우선 18가지 독해기술 딸딸 외우고 지문을 맞닥뜨렸을 때 18가지 기술 상기시키면서 하는 게 맞나요? ex. '이게 의문-해결 상황이군 -> 그땐 뭘 해야하더라? -> 해결에 주목해야징~'. 계속 그렇게 적용하다가 후에는 점점 체화되면 자연스레 상기안해도 적용되게끔 말이에요!
Q2. 일반적-구체적 전개.. 여기서 사실 좀 충격.. '예시를 읽지 않으면 글의 이해를 선명하게 못 하지 않나?' 기존에 깔린 생각이었고 현재도 그렇습니다. 저도 맥락을 잡은 상태에서 부연 설명/ 같은 말을 반복하는 상황에선 빠르게 넘어가지만 나쁜 국어에선 그냥 일반적인 문장만 읽고 넘어가는 편이어서요. 보통 모든 추상적이거나 일반적인 문장은 예시를 통해 이해해야하니깐 오히려 예시에 주목해야하는 거 아닌가요? 저는 심지어 글을 읽을 때 추상적인 문장이라고 생각하면 예시를 의도적으로 떠올려 이해하려고 하기도 하거든요.
Q3. 복습하는 방법에 대해서 (나쁜 국어 1회독)
1. 현 시점에서 국정보로 넘어갈지/그냥 다시 나쁜 국어 바로 볼지/나쁜 국어 인강 봐야할지 궁금합니다.
나쁜 국어 바로 다시 보는 게 정석인데.. 하.. 해도 잘 할 자신이 없습니다. 그래서 인강보려는데 국정보보고 보라고 하셔서요.
2. 만약 나쁜 국어 바로 다시 봐야한다면 제가 생각한 복습 방식이 괜찮은지요.
1) 우선 지문을 읽을 때 그냥 읽어도 되지만 저는 한 문장씩 읽고 드는 생각들을 노트에 필기합니다.(그동안은 이것만 했습니다) 그렇게 한 번 분석합니다. 그저 지문의 '내용'을 통해 생각들을 정교하게 만듭니다. 그러고 다시 읽으면 맥락과는 별개로 불필요하게 했던 생각들을 찾고 했어야했던 생각들을 찾아낼 수 있다고 생각해서요.
2) 다시 같은 지문을 한 문장씩 읽습니다. 이번에도 노트에 작성하는데 '기능과 구조'에 초점을 맞춰서 봅니다. 문장별로 끊어가면서 노트에 각 문장의 기능(ex. 개념/예시/원인/결론)을 파악하고, 단락 내의 중요한 문장이 무엇인지 기능/접속어/핵심어를 근거로 찾습니다. 그렇게 한 단락을 읽고 단락의 전개 흐름을 각 단락 별로 적습니다.
3) 이후는 원장님이 제시한 복습 방식이랑 같습니다~. 그렇게 찾은 중요한 문장을 바탕으로 각 단락별 관계 글 구조도 그리기
4) 전체 지문 핵심 찾아 작성해보기
이렇게 하려는데 괜찮은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