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 불일치 매커니즘에 관해 질문 드립니다.
2012.01.07
일주일 전에 나쁜언어를 계속 보고 있는 고3입니다.
이 책 읽고 언어가 눈에 들어오게 되어 참 감사드리고 싶습니다.
이제 글독해를 마치고 다음 단원으로 들어갔는데 초반에 보니 일치-불일치의 매커니즘에 대해서 나와있더라고요. 근데 그 일치 불일치를 지문에서 키워드를 보고 찾는다고 했는데, 거기서 어떤식으로 적용해야할지 서술하지 않으셔서 공부하는데 혼란이 와서 질문드립니다.
질문의 요지는 그 과정은 지문을 다 읽은 뒤에 문제를 보고 풀어야하는 건가요?
아니면 문제의 키워드를 찾아 각각 독해한 뒤에 지문을 봐야 하나요? 입니다.
좀 더 간단하게 말씀드리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Ⅰ. 1. 지문 읽기 2. 일치-불일치 문제 보기 3. 일치-불일치의 안의 키워드를 지문과 비교-분석 4. 정답 도출
Ⅱ. 1. 지문 안읽은 상태에서 바로 일치-불일치 문제 보기 2. 키워드를 지문과 비교 분석 3. 정답 도출
둘중에 어떻게 하시란 말씀인가요?
그리고 Ⅰ의 과정을 따르게 될 때 지문의 내용이 머릿속에 정확하게 각인되어 그냥 문제를 바로 풀어버릴수 있는 상황이면 그냥 풀어나가도 상관없나요? 또, 만약 Ⅱ의 과정으로 진행하게 될때는 그 문제는 해결됐을지 모르겠지만 다른 문제는 어떻게 풀어야 하나요? 일치 불일치 문제를 풀고 나서 지문을 독해한 후에 풀어야 하나요?
하고 싶은 과정으로 진행하셔도 무방합니다. 다만 두 번째 방법의 경우는 1. 지문 안읽은 상태에서 바로 일치-불일치 문제 보기 -> 지문 읽기 -> 2. 키워드를 지문과 비교 분석 3. 정답 도출
과 같이 사이에 지문 읽기 과정이 들어가야 되겠죠. 지문을 안 읽고 푸는 것은 아닙니다.
지문의 내용이 머릿속에 정확하게 각인되어 그냥 문제를 바로 풀어버릴수 있는 상황이면 그냥 풀어나가도 상관은 없습니다. 다만 기억이 부정확할 수도 있어 선택지 5개 중 정말 아닌 3개는 날려도 막판 2개에서는 확인할 요청이 큽니다.